"공부만 잘하는 한국인 vs. 놀던 미국인" 성공의 격차를 만드는 '성공 지능'의 비밀! 조벽 교수님(미국 미시간 공대 명예교수)이 밝히는 '인성=실력'이라는 충격적인 개념과, 자녀와 나 자신의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태도/감정 이동 훈련법을 리밋넘기가 핵심만 뽑아 정리했습니다.

 

"한국 아이들은 똑똑하지만, 결국 미국 아이들이 더 성공한다." 왜 이런 역설적인 결과가 나올까요? 저 리밋넘기도 어릴 적부터 '실력'은 곧 '성적'이라고 믿고 살아왔습니다. 하지만 사회에 나와 보니, 똑똑함(IQ)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성공의 영역이 분명히 존재했습니다. 특히 리더십이 필요한 상황에서 말이죠.

조벽 교수님(유튜브 채널 '지식인사이드' 영상 출처)은 이 격차의 원인을 **성공 지능(Successful Intelligence)**에서 찾았습니다. 한국 교육이 분석적 지능(Analytical Intelligence)에만 집중하는 동안, 미국은 성공에 필수적인 나머지 두 지능을 발달시켜왔다는 것이죠. 더욱 충격적인 것은, 우리가 하찮게 여겼던 **'인성(人性)'이야말로 최고의 실력**이자 성공 지능의 핵심이라는 사실입니다.

지금부터 조벽 교수님이 제시한 **성공 지능을 구성하는 3가지 실력**과, 이 실력을 어릴 때부터 길러줄 수 있는 **가장 구체적이고 실용적인 훈련 방법 4가지**를 그 효과와 근거를 중심으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이 글을 통해 '나만의 인성 실력'을 키우는 로드맵을 찾으실 수 있을 겁니다. 😊

 

 # [같이보면 좋은글] 한성열 교수 분석: 심리학적으로 외도가 '할 짓이 못되는' 3가지 충격적인 이유


PART 1. 성공 지능의 핵심: 인성(人性)은 곧 실력(實力)이다 🧠

많은 한국 사람들이 '실력이 없으면 인성이라도 좋아야지'라고 말하며 인성을 실력의 하위 개념으로 취급합니다. 조벽 교수님은 이것이 한국 사회의 인성에 대한 가장 큰 오해라고 지적합니다.

**실력**이란 타고난 능력이 아니라, **오랜 시간 동안 연마하여 얻어낸 결과물**이며 학습으로 갖춰지는 역량입니다. 우리가 생각하는 '인성' 역시 마찬가지로, 최고 수준의 글로벌 인재가 지녀야 할 필수적인 실력입니다.

하버드대가 원하는 인재상: "기여할 줄 아는 사람"

하버드 대학이 원하는 인재상은 딱 한 줄로 **'기여할 줄 아는 사람'**입니다. 기여한다는 것은 봉사나 희생이 아닌, 세상에 쓸모 있고 이로운 일을 하는 삶을 의미합니다.

  • **성공의 근거:** 쓸모가 있을 때 누군가 나한테 **돈을 줄 것**이며, 그것이 성공입니다.
  • **행복의 근거:** 이로운 일을 할 때 누군가 나랑 **같이 살고 같이 일하고 싶어 할 것**이며, 그것이 행복입니다.

최고의 인재가 갖춰야 할 인성의 3가지 조율 능력

이 '기여할 줄 아는 삶'을 살기 위해 갖춰야 할 인성의 핵심은 다음 세 가지 조율 능력입니다.

💡 인성 실력의 3대 핵심
1. **자기 조율 능력 (스트레스 & 자유 관리):** 스트레스를 받아도 **평정심을 유지**할 수 있는 기술, 자신의 마음대로 하고 싶은 것을 **절제**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. (욱하고 버럭하는 사람은 자기 관리 못하는 사람).
2. **관계 조율 능력 (관계 관리):** 소통, 공감, 경청을 통해 **남과 더불어 잘 지낼 수 있는** 기술입니다. (다른 학생들이 같이 밥 먹고 일하고 싶어하는 사람이 되는 것).
3. **공익 조율 능력 (공동체 기여):** 쓸모가 있는 사람으로서 이로운 일을 할 줄 아는 능력입니다.

 

PART 2. 최고의 실력을 만드는 '감정 이동' 훈련법 💫

인성 교육의 핵심은 바람직한 행동(가식)을 요구하는 대신, 행동의 근원이 되는 **감정을 부정적인 상태에서 긍정적인 상태로 이동시켜 주는 것**입니다. 감정 이동이 성공하면 자연스럽게 바람직한 행동이 나오게 되어 있습니다.

1. 부정적 감정에서 '고마움'으로 시선을 옮기는 기술

행동은 감정에서 나옵니다. 내 안에 짜증, 분노 같은 부정적 감정 대신 고마움, 평화로움, 만족감이 잔뜩 차 있으면 욕이나 폭력이 나올 도리가 없습니다.

  • **'고맙다'의 본질:** '고맙다'는 **'높은 가치'**라는 뜻의 형용사이며, "감사합니다"는 그 높은 가치를 인정하는 동사입니다.
  • **최고의 리더십:** 상대방을 **'고맙게 여길 수 있는 눈'**과 그것을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이 최고의 리더입니다. (예: 이순신 장군은 노비들마저 고맙게 여겨 인간 대접했고, 그들은 목숨을 바쳐 따랐습니다).

2. 관계를 돈독하게 만드는 '미안함 → 고마움' 대화법

부모가 자녀에게, 혹은 직장 동료에게 실수로 흥분하거나 감정적으로 대했다면, 곧바로 사과해야 합니다. 다만, 미안함(부정적 감정)으로 끝내면 상대방의 마음이 찝찝합니다.

사과를 '긍정적 인정'으로 바꾸는 2단계 실천법

1. **"미안해"**라고 곧바로 말한다. (내 마음의 불편함을 소통하는 단계)

2. 이어서 **"그래도 네가 잘 받아줘서 고마워"**라고 말하며 끝낸다.

→ **효과:** 미안함과 동시에 고마움(최고 수준의 긍정적 감정)으로 끝내면, 상대방의 존재를 최고로 인정하고 소중히 여긴다는 표시가 되어 관계가 돈독해집니다.

 

PART 3. 성공과 비전을 기르는 자녀 교육의 '한계 긋기' 원칙 👨‍👩‍👧‍👦

한국 부모들이 아이의 성장에 역행하는 방식(어릴 때 풀어주고 사춘기 때 잡는 것)과 달리, 아이의 **자제력과 독립심**을 키우려면 어릴 때부터 확실한 한계를 그어줘야 합니다.

1. '억압'이 아닌 '엄함'으로 규칙을 정하는 법

규칙 없이 개입하면 억압적인 부모가 됩니다. **엄한 부모**가 되기 위해서는 일관성 있는 기준이 필수입니다.

⚠️ 위험: 억압적인 부모 vs. 올바른 엄한 부모
- **억압적 부모:** 부모 자체가 기준이 되어 어제는 괜찮던 것을 오늘은 안 된다고 하는 등 **기준이 일관적이지 않습니다.** 아이는 혼란을 느끼고 반항심이 커집니다.
- **엄한 부모:** **명확한 기준(원칙)**을 가지고, 그 기준을 **일관성 있게 지켜나가는** 부모입니다. 아이는 이 기본 틀 안에서 스스로 생각하고 절제하는 능력을 가지게 됩니다.

**핵심 한계:** 아이 스스로 생각하고 절제하는 능력을 기르도록 **남을 해치는 행동**과 **본인을 해치는 행동** 두 가지에 대해서만 확실하게 한계를 그어주고, 규칙을 벗어날 경우 부모는 **평정심을 가지고 빠르게 개입**해야 합니다.

2. '친함'보다 '친밀감'을 추구하는 부모 되기

부모와 자녀는 친구가 될 수도 없고, 돼서도 안 됩니다. 부모는 아이보다 위라는 전제 아래 **친밀감(Intimacy)**을 추구해야 합니다.

  • **친밀감의 정의:** 내가 너의 상태와 상황을 알고, 무엇을 좋아하고 싫어하는지, 어떤 고민이 있는지 **공감하고 이해해 주는 것**을 의미합니다.
  • **획득 방법:** 서로 많은 **대화를 나누면서** 상대방의 정보를 수집하고 공유함으로써 얻어지는 능력입니다.

 

PART 4. 비전과 정신력을 키우는 최고의 '가정 문화' 실천법 💡

부모가 자녀에게 물려줄 것은 **정신력(시각, 방향성, 가치관)**입니다. 어릴 때 꿈(Dream)을 포기한 아이는 어른이 되어 비전(Vision)을 갖지 못합니다. 꿈을 비전으로 갈아탈 수 있도록 부정적인 시선을 긍정으로 옮기는 훈련이 필요합니다.

매일 밤 15분 '긍정 시선' 훈련 가족 회의

매일 밤 온 가족이 모여 이야기를 나누는 이 시간은, 부정적인 경험(생존 본능)에서 벗어나 긍정적인 사고관(정신력)을 갖도록 시선을 훈련하는 최고의 가정 문화입니다.

📝 매일 밤 '정신력 훈련' 4단계 로드맵

1. **오늘 좋았던 것 한 마디:** 긍정적인 것을 떠올려 긍정적인 사고관을 유지합니다.

2. **오늘 좋지 않았지만 다행인 것 하나:** 부정적인 일에 매몰되지 않고, 그 속에서 **다행인 점을 찾아**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시선 훈련을 합니다.

3. **오늘 고마운 것 하나:** 타인의 존재를 최고로 인정하는 **고마움(긍정적 감정 최고 수준)**을 훈련합니다.

4. **고마우니까 내일 기여할 것 하나:** 받은 고마움을 바탕으로, 나도 **누구에게 고마움을 베풀어야겠다는 기여하는 삶**으로 확장합니다.

**리밋넘기의 경험 공유**: 저는 이 훈련을 '직장인 버전'으로 바꿔서 시도해봤습니다. 특히 2단계 **'좋지 않았지만 다행인 것'** 찾기는 스트레스를 다스리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. 이전에는 상사의 까다로운 지적(부정)에 욱하고 버럭(자기 조율 실패)했지만, 훈련 후에는 '지적 덕분에 업무 실수를 바로잡았으니 오히려 다행이다'라고 생각하게 되었죠. 이처럼 부정적 시선을 긍정으로 이동시키는 훈련은 스트레스에 무너지지 않는 **자기 조율 능력(실력)**을 길러주었습니다.

 

마무리: 핵심 내용 요약 📝

💡

조벽 교수의 '성공 지능' 훈련 핵심 가이드

✨ 성공 지능의 근본: 인성은 곧 길러지는 '실력'이다. (타고나는 능력이 아닌, 오랜 연마로 얻어지는 역량입니다)
🔥 최고의 리더십: 상대방을 '고맙게 여길 수 있는 눈'을 가진 사람. (미안함으로 시작해 고마움으로 끝내는 대화법을 실천하세요)
👨‍👩‍👧‍👦 자녀 교육 원칙:
**어릴 때 '남을/본인을 해치는 행동'에 엄하게 한계를 긋고, 독립을 허락하라**
💡 매일의 실천: 매일 밤 '고마움'과 '기여할 것'을 나누는 가족 회의 (부정적인 시선을 긍정으로 이동시키는 정신력 훈련)

이 글이 여러분의 아이들과, 그리고 여러분 자신의 잠재력을 활짝 열어주는 '성공 지능' 훈련의 시작점이 되기를 바랍니다.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물어봐주세요~ 😊