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2주 진단이면 보통 100만 원에 합의보시던데요?" 이 말에 속지 마세요. 교통사고 2주 진단 합의금에는 정해진 가격이 없습니다. 2025년 최신 기준에 따라 위자료, 휴업손해, 향후치료비를 직접 계산하고, 내 상황에 맞는 '적정 합의금'을 찾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.

교통사고를 당한 후 병원에 가면 가장 흔하게 받는 진단이 바로 '경추/요추 염좌 2주 진단'입니다. 그리고 이 진단을 받으면 보험사 담당자에게서 거의 비슷한 레퍼토리의 전화를 받게 되죠. "고객님, 2주 진단은 경미한 사고라 보통 OOO만 원 정도에 다들 합의하십니다."

이 말을 들으면 '아, 시세가 그 정도인가 보다' 하고 생각하기 쉽습니다. 하지만 단언컨대, 교통사고 합의금에 '정가'나 '시세'는 존재하지 않습니다. 저 리밋넘기 역시 과거 사고에서 보험사가 제시한 '시세'라는 말에 속아 터무니없는 금액에 합의할 뻔했습니다. 똑같은 2주 진단이라도, 학생인지, 직장인인지, 입원을 했는지, 통원치료를 몇 번 받았는지에 따라 합의금은 100만 원이 될 수도, 300만 원이 넘을 수도 있습니다. 오늘은 그 금액이 어떻게 결정되는지, 그 비밀을 파헤쳐 보겠습니다.

 

'2주 진단 합의금', 무엇으로 구성될까? 📝

'적정 합의금'을 계산하려면, 합의금이 어떤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는지부터 알아야 합니다. 크게 4가지 항목을 기억하세요.

  1. 위자료: 정신적 고통에 대한 보상금입니다. 2주 진단은 보통 부상 12~14급에 해당하며, 2025년 기준 15만 원에서 30만 원 사이에서 책정됩니다.
  2. 휴업손해: 입원이나 치료로 일하지 못해 발생한 소득 손실입니다. 입원 기간 동안 인정된 소득의 85%를 보상받습니다. 통원치료의 경우, 실제로 일을 쉬었다는 객관적인 증빙(급여명세서상 공제 내역 등)이 있어야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.
  3. 통원치료 교통비: 병원을 오가는 데 사용된 교통비입니다. 실제 교통비와 무관하게 통원 1회당 8,000원으로 계산됩니다. 보험사가 빼놓고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으니 꼭 챙겨야 합니다.
  4. 향후치료비: 합의 이후에 예상되는 치료 비용입니다. 물리치료, 약값, 흉터 치료비 등이 포함되며, 이 항목을 얼마나 잘 협상하느냐에 따라 최종 합의금이 크게 달라집니다.
⚠️ 합의란 '미래의 권리'를 포기하는 것!
합의서에 서명하는 순간, 추후 사고로 인해 몸에 다른 이상이 생겨도 추가 보상을 청구할 수 없습니다. 따라서 '향후치료비'는 미래에 들어갈 모든 치료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신중하게 협상해야 합니다.

 

https://www.thereisnolimit26.kr/2025/07/2025-200-3.html


상황별 2주 진단 예상 합의금 시뮬레이션 🧮

똑같은 2주 진단이라도 상황에 따라 합의금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3가지 시나리오로 나누어 계산해 보겠습니다.

시나리오 1: 대학생 A군 (소득 없음, 통원 15회)
  • 위자료: 200,000원
  • 휴업손해: 0원 (소득 증빙 불가)
  • 교통비: 8,000원 x 15회 = 120,000원
  • 향후치료비: 400,000원 (물리치료비 등 협의)

👉 예상 합의금: 약 720,000원

시나리오 2: 직장인 B씨 (월 300만 원, 통원 20회, 연차 2일 사용)
  • 위자료: 250,000원
  • 휴업손해: 170,000원 (일당 10만원 x 2일 x 85%)
  • 교통비: 8,000원 x 20회 = 160,000원
  • 향후치료비: 800,000원 (적극적 협의)

👉 예상 합의금: 약 1,380,000원

시나리오 3: 자영업자 C씨 (월 500만 원, 5일 입원 + 통원 10회)
  • 위자료: 300,000원
  • 휴업손해: 708,000원 (일당 약 16.6만원 x 5일 x 85%)
  • 교통비: 8,000원 x 10회 = 80,000원
  • 향후치료비: 1,000,000원 (입원 기간 고려하여 협의)

👉 예상 합의금: 약 2,088,000원

이처럼 똑같은 2주 진단이라도 개인의 상황에 따라 합의금은 70만 원에서 200만 원 이상까지 큰 차이를 보입니다.

💡

적정 합의금 3줄 요약

1. 고정값: 위자료(15~30만) + 통원 교통비(1회당 8천원)는 기본.
2. 변동값: 내 소득과 입원/휴가일수에 따라 휴업손해액이 결정된다.
3. 협상값: 향후치료비를 얼마나 잘 주장하느냐에 따라 최종 금액이 달라진다.

자주 묻는 질문 ❓

Q1: 2주 진단인데, 100만 원이면 잘 받은 건가요?
A: 위 시뮬레이션처럼 단정할 수 없습니다. 소득이 없는 학생이 통원치료만 받았다면 100만 원은 매우 훌륭한 합의금일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입원까지 한 직장인이라면 손해에 훨씬 못 미치는 금액일 수 있습니다. 총액만 보지 마시고, 항목별로 내 손해가 제대로 반영되었는지 따져봐야 합니다.
Q2: 치료를 많이 받을수록 합의금이 올라가나요?
A: 어느 정도 맞는 말입니다. 치료 기록은 내 부상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보여주는 자료이며, 통원 횟수에 따라 교통비가 늘어나고 향후치료비를 주장할 근거도 강해집니다. 단, 의사의 소견과 무관한 과잉 진료는 오히려 합의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.
Q3: 보험사에서 합의를 안 해주면 어떻게 하나요?
A: 합의는 필수가 아닙니다. 합의가 결렬되면, 건강보험으로 치료를 계속 받고 추후에 '소송'을 통해 보험사에 청구할 수 있습니다. 또는, 합의 대신 '치료비 지불보증'만 유지한 채로 치료를 모두 받고, 모든 손해액이 확정된 후 마지막에 청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.

교통사고 합의, 더 이상 어렵게 생각하지 마세요. '아는 것'이 힘이고, 내 권리를 지키는 가장 강력한 무기입니다. 오늘 알려드린 계산법으로 내게 맞는 적정 합의금을 꼭 계산해보시길 바랍니다.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! 🙏